케이(K)-푸드, 수출 역대 최대 실적 |
- 2025년 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8억 달러 기록 -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케이(K)-푸드 글로벌 홍보 및 수출확대 기회될 듯 |
□ (현황) 관세청(청장 이명구)은 2025년 9월 누계 기준 '케이(K)-푸드'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8억 달러를 기록하며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ㅇ 이는 케이(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전년도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ㅇ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 케이(K)-팝 아파트(2024년)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0.31~11.1)를 계기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케이(K)-푸드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 10년간 케이(K)-푸드 수출액 증감 추이 >
(단위: 백만달러)
|
|
□ (품목별)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ㅇ 특히 케이(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전년동기대비 6.7% 증가한 52.0억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ㅇ '수산물'은 '김'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11.2% 증가한 23.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축산물'은 2.8억 달러로 50.3%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ㅇ 이 밖에 '농산물'과 '임산물'도 전년동기대비 각각 5.6%와 24.6%의 증가세를 보였다.
< 케이(K)-푸드 품목군별 수출 현황 >
구분 | 2024년 1~9월 | 2025년 1~9월 | |||||
금액 |
|
| 금액 |
|
| ||
비중 | 증감률 | 비중 | 증감률 | ||||
케이(K)-푸드 | 7,787 | 100.0 | 6.5 | 8,481 | 100.0 | 8.9 | |
| 가공식품 | 4,871 | 62.6 | 9.7 | 5,198 | 61.3 | 6.7 |
| 농산물 | 620 | 8.0 | △1.6 | 655 | 7.7 | 5.6 |
| 수산물 | 2,092 | 26.9 | 1.7 | 2,326 | 27.4 | 11.2 |
| 임산물 | 15 | 0.2 | △20.4 | 19 | 0.2 | 24.6 |
| 축산물 | 188 | 2.4 | 13.9 | 283 | 3.3 | 50.3 |
ㅇ 세부 품목별로는 '라면'이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한 11.3억 달러를 기록하며 맛있게 매운 케이(K)-라면의 여전한 인기를 증명했고, 글로벌 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한 '김'도 14.0% 증가한 8.8억 달러로 수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그 외에도 '전통 한과'를 포함한 과자류(+2.0%), 국민 입가심 필수템인 '믹스커피' 등 커피조제품(+15.8%), 발효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고추장·된장' 등 소스류(+7.2%)와 각종 음료(+2.6%) 등 주요 품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며 케이(K)-푸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 주요 세부 품목별 케이(K)-푸드 수출 현황 >
구분 | 2024년 1~9월 | 2025년 1~9월 | |||||
금액 |
| 금액 |
| ||||
비중 | 증감률 | 비중 | 증감률 | ||||
케이(K)-푸드 | 7,787 | 100.0 | 6.5 | 8,481 | 100.0 | 8.9 | |
| 라면 | 904 | 11.6 | 29.6 | 1,125 | 13.3 | 24.5 |
| 김 | 774 | 9.9 | 27.3 | 882 | 10.4 | 14.0 |
| 과자류 | 561 | 7.2 | 15.4 | 572 | 6.7 | 2.0 |
| 음료 | 506 | 6.5 | 13.5 | 518 | 6.1 | 2.6 |
| 소스류 | 290 | 3.7 | 3.7 | 311 | 3.7 | 7.2 |
| 커피조제품 | 245 | 3.1 | 1.1 | 283 | 3.3 | 15.8 |
| 김치 | 122 | 1.6 | 2.4 | 126 | 1.5 | 3.2 |
| 아이스크림 | 75 | 1.0 | 2.4 | 93 | 1.1 | 24.2 |
□ (국가별) 2025년 9월 기준 케이(K)-푸드 수출 상위 3개 국가는 미국(16.0억 달러, +13.1%), 중국(15.0억 달러, +12.5%), 일본(11.6억 달러, +6.7%)으로 이들 3개국이 전체 수출의 절반(50.2%)을 차지했다.
< 주요 국가별 케이(K)-푸드 수출 현황 >
순위 | 2024년 1~9월 | 2025년 1~9월 | |||||||
국가 | 금액 |
|
| 국가 | 금액 |
|
| ||
비중 | 증감률 | 비중 | 증감률 | ||||||
전체 | 202개국 | 7,787 | 100.0 | 6.5 | 200개국 | 8,481 | 100.0 | 8.9 | |
1위 | 미국 | 1,415 | 18.2 | 17.2 | 미국 | 1,600 | 18.9 | 13.1 | |
2위 | 중국 | 1,332 | 17.1 | △6.3 | 중국 | 1,498 | 17.7 | 12.5 | |
3위 | 일본 | 1,089 | 14.0 | △3.1 | 일본 | 1,162 | 13.7 | 6.7 | |
4위 | 베트남 | 490 | 6.3 | 0.7 | 베트남 | 487 | 5.7 | △0.7 | |
5위 | 태국 | 297 | 3.8 | 13.4 | 태국 | 274 | 3.2 | △7.9 | |
기타 | 197개국 | 3,164 | 40.6 | 13.8 | 195개국 | 3,460 | 40.8 | 9.4 | |
ㅇ 수출액 상위 10개국 중 9개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이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국가(한국 제외 20개 회원국)로의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8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한 홍보와 마케팅이 향후 케이(K)-푸드의 해외시장 확대과 수출 증가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대만, 필리핀, 러시아, 홍콩
- 특히, 정부는 이번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동안 29개 기관과 기업들을 케이(K)-푸드 공식 협찬사로 선정하여 치킨, 라면, 떡볶이, 순대, 한과 등 인기 먹거리를 각국 정상들은 물론 외신에도 적극 소개한다는 계획으로 글로벌 홍보 효과가 기대된다.
□ 한편, 관세청도 케이(K)-컨텐츠 수출 확대를 위한 수출기업 지원에 적극 동참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1. 케이(K)-푸드 수출 현황
붙임2. 케이(K)-푸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수출 현황
붙임3. 케이(K)-푸드 세부 품목 예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