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의료인용 안내서 및 다국어 홍보물 제작·배포
- 질병관리청, 의료현장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의심환자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의료인용 안내서 개발·배포 및 감염관리 수칙 준수 당부
- 다문화가정, 외국인 계절근로자 등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국어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홍보물 배포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 환자 조기인지 및 적기치료를 위하여, 「의료인을 위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안내서」 및 다국어 SFTS 예방·홍보 리플릿을 제작·배포한다.
SFTS는 주로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2주 이내 고열(38~40℃),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치명률이 18.5%로 높으나,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야외활동 후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SFTS 의심단계에서 환자 조기발견 및 대응을 돕기 위한 「의료인을 위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안내서」와 계절근로자 및 농·축산업 종사 외국인 근로자 등을 위하여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홍보물을 다국어로 제작하였다.



다국어 홍보 리플릿(베트남어, 후면)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의료인을 위한 SFTS 안내서와 다국어 홍보물 배포를 취약계층의 정보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제작된 안내서 및 다국어 홍보물(온라인판)은 진드기매개감염병 환자 다발생지역(22개 시·군) 보건소 및 시·도 의사회 등을 통하여 11월에 배포될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www.kdca.go.kr) > 알림·자료 > 법령·지침·서식 > 지침
<붙임> 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개요
2. SFTS 2차감염 예방을 위한 포스터(의료기관 종사자용)
3.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 홍보 리플릿(다국어)








































